2024. 11. 14. [한국경제]

[한경 CFO Insight]
삼정㣨Leyu 경제연구�

 

‘성공은 주어� 기회� 통해 실현된다. 만약 기회가 온다�, 반드� 그것� 최대� 활용해야 한다.� 과거 도널� 트럼프는 본인� 저� 《The Art of the Deal(1987)》에� 성공� 실현시키� 방법� 대해서 설명� � 있다. 그리� 2024� 11� 5�, 트럼프는 자신� 말처� 4� 만에 다시 주어� 기회� 놓치지 않았�, � 기회� 어떻� 활용해야 하는지 � 세계� 보여줬다.

60번째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의 도널� 트럼프가 민주당의 카멀� 해리� 후보� 누르� 대통령� 당선되었�. 선거 막판까지 여론조사� �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� 치열� 경쟁� 벌일 것이라고 전망되었으나, 트럼� 당선인은 승패� 결정짓는 경합주인 펜실베이니아, 조지�, 노스캐롤라이� � 7곳에� 전승� 거두� 일찌감치 승리� 확정 지었다.

두번째를 맞이하는 트럼� 행정부� 앞으� 어떠� 방향으로 변화하� 될까? 삼정㣨Leyu 경제연구원에서는 향후 트럼� 행정부� 주요 키워드를 'T.R.U.M.P'� 정리� 보았�. 이는 무역 정책 대변�(Tariffs), 리스� 감수(Risk-taking), 예측불가� 정책 기조� 인한 불확실성 확대(Unpredictability), 제조� 강국(Manufacturing), 그리� 양립 불가� 공약 추진� 대� 기대와 우려(Paradox)� 의미한다.

트럼� 대통령은 외교·안보 정책에서 일방주의와 비개입주의를 강화하며, 동맹국의 방위� 부담금 증액 등을 강조해왔�. 안보 정책에서� 친유대주의� 기반으로 � 강력� 통상 대응을 예고하며, 중국� 대� 고관� 부과와 전면적인 디커플링(De-Coupling) 전략� 추진� 것으� 보인�.

경제·통상 정책은 미국 노동� 보호와 무역 적자 해소� 목표� 보편적인 관� 부과와 양자 � 무역 협정 강화� 중점적으� 추진� 예정이다. 공급� 측면에서� 미중 경제 분리� 추진하며, 중국� 최혜� 대� 지� 철회와 대� 관� 인상, 필수� 수입 단계� 폐지 등이 계획되고 있다. ESG(환경·사회·지배구�) 관� 정책은 친환� � 에너지 규제 완화� 통해 저가 에너지 정책� 추진하며, 제조� 중심� 경제 성장� 도모� 것으� 예상된다.

이러� 정책 변화에 따라 반도� 산업은 대중국 규제와 보호무역주의 강화� 불확실성� 커질 전망이다. 특히, 트럼� 대통령은 반도� 지원법(CHIPS Act)� 대� 비판적인 입장� 취하� 있어 법안 수정 가능성� 제기되고 있다. 이에 따라 국내 반도� 산업� 불확실성은 더욱 확대� � 있다. 그러� 중국� 대� 직접적인 규제가 한국 반도� 업계� 일부 반사이익� 가져올 � 있을 것으� 보인�. 자동� � 이차전지 산업은 완성� 수출 관� 인상� 인플레이션감축법(IRA)� 전기� 세액 공제 축소 등으� 인해 미국으로� 자동� 수출� 직격탄을 맞을 � 있다. 특히, AMPC(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) 조항� 축소가 한국 자동� � 이차전지 기업� 수익성에 부정적� 영향� 미칠 가능성� 크다. 에너지 산업에서� 화석 연료 생산� 늘리�, 파리 기후협약에서 재탈퇴하� 등의 친환� 정책 약화가 예상된다. 이는 한국 기업� ESG 부담을 완화시킬 � 있지�, 동시� 에너지 전환 속도가 늦어� 우려� 있다.

조선 산업은 LNG � LPG 수요 증가� 인해 에너지 운반� 건조에서 강점� 보이� 한국 조선업에 긍정적인 영향� 미칠 것으� 보인�. 트럼� 행정부� 화석 연료 중심 정책� 한국 조선업에 우호적인 환경� 제공� 가능성� 크다. 건설 산업은 트럼� 대통령� 러시�-우크라이� 전쟁� 종식� 강조하며, 우크라이� 재건 사업� 본격화될 경우 한국 건설사의 해외 사업 기회� 확대� � 있을 것으� 보인�. 방위 산업은 트럼� 대통령� 동맹국에 방위� 분담� 요구하는 자국 우선주의 정책� 펼칠 가능성� 크다. 이에 따라 한미 방산 협력� 일부 불확실성� 있을 � 있지�, 글로벌 자주국방 강화 기조� 따라 한국 방산 산업� 수출 확대 기회� 늘어� 것으� 예상된다. AI(인공지�) 산업에서� 트럼� 대통령� 미국 중심� AI 산업 성장 지원을 확대하고, 이를 저해할 � 있는 규제� 완화� 것으� 보인�.

트럼프의 당선은 미국뿐만 아니� 국제 질서� 중대� 전환점이 � 것으� 예상되며, � 세계� 이목� 집중되고 있다. 국내 산업에도 트럼� 대통령� 정책� 다양� 영향� 미칠 것으� 보이�, 특히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미·중 관� 변화가 핵심 변수로 작용� 전망이다.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은 트럼� 대통령� 정책 변화를 면밀� 모니터링하며, 글로벌 공급� 구축, 수출� 다변�, 가� 전략 강화 � 대� 방안� 모색해야 � 것이�.